LLM / RAG란?
·
CS(ComputerScience)
지난 월례조회에서 진행된 AI 기술 강의에서 LLM과 RAG라는 용어를 처음 접했다. 강의를 듣는 동안 이 기술들이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ChatGPT나 Claude 같은 AI 서비스의 핵심이라는 점이 흥미로웠다. 특히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MCP 기술까지 알게 되면서, 이 세 기술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어 이 글을 작성한다.LLM: 대규모 언어 모델의 이해정의와 특징LLM(Large Language Model)은 수십억에서 수조 개의 매개변수를 가진 인공신경망 모델이다. 이 모델들은 인터넷상의 텍스트 데이터, 도서, 논문 등 방대한 양의 언어 자료를 학습하여 인간 수준의 언어 이해와 생성 능력을 보유한다. Untitled by 유레이나 (@zdixexqp-the-..
MCP(Model Context Protocol)란?
·
CS(ComputerScience)
최근 회사 월례조회시간에 진행된 기술 강의에서 MCP(Model Context Protocol)라는 흥미로운 개념을 접하게 되었다. 강의에서는 Azure Container Apps와 Node.js/TypeScript를 활용한 일정관리 MCP 구현 사례와 날씨 정보를 제공하는 MCP 예시를 통해 이 기술의 실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. 이에 MCP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위해 상세한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한다.❓MCP란 무엇인가MCP(Model Context Protocol)는 AI 모델이 외부 데이터 소스와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표준화된 프로토콜이다. AI와 외부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해주는 다리 역할을 한다. Claude와 같은 대화형 AI가 실시간 정보에 접근하고, 특정..
클로저(Closure)란 무엇일까? – 함수가 기억하는 환경
·
CS(ComputerScience)
어제 업무 시간 중 상사들끼리 “클로저가 뭐냐”는 이야기를 듣고,나는 자연스럽게 클로저라는 개념을 알아보게 되었다.프로그래밍을 하면서 자주 접하지만, 막상 이해하기 어려운 개념이 바로 클로저이다.1. 클로저란 무엇인가?클로저(Closure)란, 함수와 그 함수가 선언될 당시의 환경(변수들)을 함께 기억하는 구조이다.즉, 함수가 실행될 때 사라져야 할 외부 변수들을 계속 접근할 수 있도록 유지하는 기능이다.2. 클로저를 비유로 이해하기외부 함수 → 부모 집내부 함수 → 자식부모가 집을 떠나도, 자식이 부모 집의 물건(변수)을 계속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.부모 집 = 외부 함수의 스코프자식 = 내부 함수(클로저)집의 물건 = 외부 함수의 변수이 비유를 통해 클로저가 함수가 외부 환경을 기억할 수 있는 이유..